데굴데굴

TIL: 2022-09-15 본문

Lesson/TIL

TIL: 2022-09-15

aemaaeng 2022. 9. 15. 22:34

⚙️ 오늘 배운 주제

git 활용법

 

🐹 오늘의 기분

아침부터 라이브 세션이 있어서 좀 더 일찍 일어나야 했다. 여담이지만 어제 모니터를 바꿨는데 세상 쾌적해져서 학습하는 내내 기분이 좋았다. 진작 바꿀걸..! FHD 모니터에서 4k로 넘어오니 좋아진게 너무나도 잘 체감된다. 여태 인생 손해본 기분....

오늘은 git 활용법을 더 자세히 배웠다. push, pull처럼 처음에 잘 와닿지 않던 개념들도 몇 번 실습을 해보니 확실히 익힐 수 있었다. 처음 배울 땐 로컬, 리모트도 구분 못했는데 이젠 좀 익숙해졌다. 깃 실습 후에 바로 솔로 프로젝트로 넘어갔다. 오늘은 튜토리얼에 나온 기능들을 구현해보고 저녁에 CSS를 살짝 만져보았다. 처음엔 진짜 막막했는데 구글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점차 완성해나가고 있다. 내일도 열심히 달려봐야지

 

🗝 키워드

remote repository, local repository, fork, clone, push, commit, pull request

 

🗣 스스로에게 설명

local repository

-> 내 컴퓨터 디렉토리에서 생성된 로컬 git 레포지토리

  • git init 로컬 git 레포 생성
  • git add staging area에 수정된 파일을 올림. 여기에 올려야 commit이 가능함.
  •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로컬 레포에 코드 수정 내역을 묶어서 올릴 수 있음. 커밋 메시지는 명료하게 작성해야 한다.
  • git status 깃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수정되었는데 add되지 않은 파일이 있는지, 파일이 제대로 add되었는지 확인할 때 유용하다.

remote repository

-> 클라우드에 저장된 원격 git 레포지토리. 간단하게 우리가 직접 깃헙에 만들어둔 레포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 git remote add <이름> <원격 레포지토리 주소> github에 있는 레포지토리와 로컬 레포지토리를 연결한다.
  • git push <이름> <브랜치> 로컬 레포에 커밋해뒀던 내역들을 원격 레포에 올린다.

그 외 유용한 명령어

  • git log 커밋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커밋 내역이 많을 경우) 확인이 끝나면 Q를 눌러 로그에서 빠져나온다.
  • git remote -v 로컬 레포에 연결된 원격 레포들의 이름과 주소를 보여준다
  • git reset HEAD^1 가장 최근 커밋 내역 하나를 삭제한다.

fork를 하지 않고 바로 clone하면 내가 수정한 사항이 원본 레포지토리로 올라가버린다. 상상만 해도 아찔하다...

내 레포지토리로 fork한 다음에 fork한 레포지토리를 clone해야 이런 불상사를 막을 수 있다.

내가 fork해온 레포지토리에 push된 수정사항들을 원본 레포지토리에도 반영하도록 원작자에게 request를 보내는 것이 pull request이다.

'Lesson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2-09-20 🤯  (0) 2022.09.20
TIL: 2022-09-16, 첫 솔로 프로젝트 짤막한 회고  (0) 2022.09.16
TIL: 2022-09-14  (0) 2022.09.14
TIL: 2022-09-13  (0) 2022.09.13
TIL: 2022-09-08  (0) 2022.09.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