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자료구조
- 코드스테이츠
- web
- html
- superstarjypnation
- 자바스크립트
- 스택
- CSS
- React
- 프로그래머스
- level1
- 해시테이블
- mysemester
- 큐
- 백준
- 생활코딩
- useState
- javascript
- 카카오
- 회고
- 프로토타입
- UX
- Til
- 운영체제
- Next.js
- redux
- UI
- REST_API
- 30daysdowoonchallenge
- vercel
- Today
- Total
목록web (3)
데굴데굴

Lighthouse 구글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웹페이지의 품질 검사 기능 제공 -> 이를 참고하여 낮은 지표에 대해 개선 가능 lighthouse 성능 분석은 결국 로컬 pc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pc 성능에 따라 결과가 그 때 그 때 다르게 나온다. 즉, 이 결과가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사용해보기 네이버 데스크탑 웹페이지를 분석해본 결과 대부분의 지표에서 평균 이상의 점수가 나왔다. Largest Contentful Paint는 뷰포트에서 가장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콘텐츠의 로딩 시간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 부분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는 초록색이 떴다. 위 항목을 개선할 여러 방법에 대해서는 공식 문서에서 서술하고 있다. 최대 콘텐츠풀 페인트 최적화 Largest Cont..
⚙️ 오늘 배운 주제 웹 접근성 이론 & 리팩토링 과제 🐹 오늘의 기분 웹 접근성을 학습하고 페어분과 웹 접근성을 지키지 않은 페이지를 리팩토링하는 과제를 했다. 내일 블로깅 과제가 있어서 오늘은 과제 복습 내용을 올려두려고 한다. 생각보다 할 게 많았던 과제였다. 스크린리더도 써봤는데 코드 작성 방식에 따라 다르게 읽어주는 게 신기했다. 웹 접근성이 중요한 페이지를 만들 때 유용할 것 같다. html로 표를 그려보는 것도 재밌었다. 저번 유닛에서 했던 리덕스 과제를 리팩토링하는 문제도 있었는데 거기까지는 시간이 부족해서 아직 들어가지 못했다. 🗝 키워드 웹 접근성, WAI-ARIA 🗣 과제 되돌아보기 과제 각 페이지에서 포인트라고 느꼈던 부분이다. Page 1 웹페이지는 와 만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
⚙️ 오늘 배운 주제 웹 표준 🐹 오늘의 기분 어제 머리 싸매고 고민했던 트리 dfs 문제는 레퍼런스를 보니 단 몇 줄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다.. 디버거를 돌려봐도 잘 이해가 안 되어서 결국 직접 태블릿에 과정 하나하나 다 써가면서 이해했다. 와.. 이걸 어떻게 스스로 생각해내서 쓰지? ㅜㅜ 오늘 학습은 이론 위주였던 데다가 전에 공부하면서 몇 번 봤던 내용들이라 그렇게 버겁진 않았다. 남은 시간은 코플릿 이해하고 dfs 찾아보는데에 쓴 듯.. 내일은 주말이니까 이번 주에 올렸던 내용 다시 읽어보고 코플릿 문제들도 다시 풀어봐야겠다. 🗝 키워드 웹 표준, Semantic HTML, 크로스 브라우징, SEO, open graph 🗣 스스로에게 설명 웹 표준 예전엔 브라우저마다 따로 개발을 해주어야 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