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vercel
- React
- REST_API
- 스택
- 회고
- 프로그래머스
- web
- level1
- 코드스테이츠
- redux
- 운영체제
- UX
- 자바스크립트
- superstarjypnation
- html
- 생활코딩
- Next.js
- CSS
- 프로토타입
- Til
- mysemester
- 자료구조
- 카카오
- 백준
- javascript
- useState
- 30daysdowoonchallenge
- UI
- 큐
- 해시테이블
Archives
- Today
- Total
데굴데굴
알고리즘 시간복잡도 2 본문
공부자료: 신찬수 교수님 유튜브 '자료구조' 재생목록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어떻게 측정하는가?
algorithm ArrayMax(A,n): # 지금부터 ArrayMax라는 가상의 코드를 기술하겠다
input: n개의 정수를 받는 배열 A
output: A의 수 중에서 최대값 리턴
currentMax = A[0]
for i=1 to n-1 do
if currentMax < A[i]:
currentMax = A[i]
return currentMax
A = [ ... ] , n: input size
- 모든 입력에 대해 기본연산 횟수를 더한 후 평균 -> 현실적으로 불가능 (고려해야 할 입력이 무한히 많기 때문)
- 가장 안 좋은 입력(worstcase input, 기본연산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입력)에 대한 기본연산 횟수 측정: worstcase time complexity -> 어떤 입력에 대해서도 wtc보다 수행시간이 크지 않다는 것이 보장됨.
알고리즘의 수행시간 = 최악의 입력에 대한 기본연산 횟수
대부분의 worst case는 쉽게 알 수 있음.
ex)
대입연산 무조건 실행 +1
[for문 진입]
비교연산 실행 +1
if문 내의 명령문은 case by case
A = [2, 5, 7, 9, 15, 26]
--> if 내의 명령문이 계속해서 실행되기 때문에 기본연산 횟수가 증가함.
2n-2+1 = 2n-1번의 기본연산을 수행함.
T(n) = 2n-1
예제
11분
혼자 해보기
'CS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차적 자료구조 & 스택 (stack) (0) | 2022.06.16 |
---|---|
순차적 자료구조: 배열과 리스트 (0) | 2022.06.14 |
알고리즘 시간복잡도 Big-O (0) | 2022.06.14 |
알고리즘 시간복잡도 1 (0) | 2022.06.12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gcd 파이썬 실습 (0) | 2022.06.1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