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해시테이블
- 프로토타입
- html
- 생활코딩
- UI
- level1
- Next.js
- 운영체제
- REST_API
- 스택
- 백준
- 자료구조
- web
- 코드스테이츠
- mysemester
- 프로그래머스
- superstarjypnation
- React
- UX
- Til
- CSS
- 자바스크립트
- javascript
- vercel
- redux
- 30daysdowoonchallenge
- 큐
- 카카오
- useState
- 회고
- Today
- Total
목록재귀함수 (2)
데굴데굴
17478번: 재귀함수가 뭔가요? (acmicpc.net) 17478번: 재귀함수가 뭔가요? 평소에 질문을 잘 받아주기로 유명한 중앙대학교의 JH 교수님은 학생들로부터 재귀함수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많은 질문을 받아왔다. 매번 질문을 잘 받아주셨던 JH 교수님이지만 그는 중앙대 www.acmicpc.net 문자열 문제는 무조건 복붙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게 해준 문제다. (마침표 하나 때문에 계속 실패했었다) 딱 한 번 출력되는 문장은 함수에 넣지 않고 따로 출력한다. 재귀함수를 정지해줄 제어장치로 cnt 변수를 받는다. cnt 변수는 재귀의 진행 횟수를 카운트한다. 처음에는 텍스트가 그냥 출력되지만, 재귀할 때마다 문장 앞에 언더바 네 개(____)가 추가된다. 따라서 언더바 네 개에 cnt를 곱해준다. ..
10870번: 피보나치 수 5 (acmicpc.net) 10870번: 피보나치 수 5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www.acmicpc.net 재귀함수를 이용하여 피보나치 수를 만들어야 한다. 피보나치 수열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 n을 입력받은 후 n번째 피보나치 수를 출력해야 한다. ex) n = 5, 출력값은 3 n = int(input()) def fibonacci(n): if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