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SS
- REST_API
- 백준
- 카카오
- 스택
- vercel
- 큐
- Next.js
- html
- 자바스크립트
- level1
- React
- redux
- javascript
- 회고
- UX
- 30daysdowoonchallenge
- web
- 해시테이블
- Til
- 코드스테이츠
- 운영체제
- 프로그래머스
- useState
- 생활코딩
- superstarjypnation
- UI
- 프로토타입
- 자료구조
- mysemester
- Today
- Total
목록Stack (2)
데굴데굴
* Stack 클래스를 정의하여 코드를 작성했다. 입력 1 2 3 + 4 / + 출력 2.2500 Stack 클래스 정의 push(value): 스택에 값을 넣음 p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값을 삭제 후 리턴, 스택이 비어있으면 "Stack is empty"를 출력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값을 리턴, pop()과 마찬가지로 스택이 비어있으면 "Stack is empty"를 출력 __len__(): 스택의 길이 출력 isEmpty(): 스택이 비어있는지 아닌지 판단 class Stack: def __init__(self): self.items = [] def push(self, val): self.items.append(val) def pop(self): try: return self..
* class로 Stack을 정의한 후 코드를 작성했다. * 수식에는 이항연산자만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어설프지만 infix와 postfix 그리고 스택은 아래 링크에 정리해두었다. 순차적 자료구조 & 스택 (stack) 순차적 자료구조 (Sequential data structures) 1. 배열, 리스트 - index로 임의의 원소에 접근 - 연산자 [ ] - 삽입 (append, insert) - 삭제 (pop, remove) 2. stack, queue, dequeue - 제한된 접근(삽입, 삭제).. haruisshort.tistory.com 입력 1 + ( 2 + 3 ) / 4 출력 1 2 3 + 4 / + Stack 클래스 정의 push(value): 스택에 값을 넣음 pop(): 스택의 가..